민간 우주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전 세계 기업들이 잇따라 위성을 쏘아 올리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그만큼 우주를 떠도는 인공위성의 잔해, 즉 우주 쓰레기도 증가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최근 우주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각국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올해부터 본격적인 도전에 나설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이동은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수명을 다한 인공위성 잔해인 '우주 쓰레기'를 향해 위성이 천천히 다가갑니다. <br /> <br />로봇팔을 뻗어 우주 쓰레기의 패인 부분을 단단히 잡은 뒤 지구 대기권으로 끌어내려 던져 넣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 공기 마찰로 생긴 강한 열에 우주 쓰레기가 타면서 제거됩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는 4개의 로봇팔이 마치 문어가 다리로 먹잇감을 감싸듯이 우주 쓰레기를 붙잡고 궤도에서 벗어납니다. <br /> <br />위성이 직접 우주 쓰레기와 함께 대기권으로 들어가 불태우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[로리 홈즈 / 클리어스페이스 매니징디렉터 : 하나의 우주 쓰레기를 잡은 뒤 다른 위성에 안전하게 길을 비켜주고 다시 돌아가 다음 우주 쓰레기를 잡을 수 있습니다. 각각의 위성에 대해 여러 개의 쓰레기를 한 번에 제거할 수 있는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최근 민간 우주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우주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각국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주를 도는 위성 수가 늘어나는 만큼 우주 쓰레기양도 증가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해 말 기준, 지구 궤도를 도는 위성 수는 4년 전보다 약 77%가 늘었고, 같은 기간 우주 쓰레기는 모두 2,700톤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제때 우주 쓰레기를 없애지 않으면 궤도에 쌓인 우주 쓰레기가 위성과 충돌해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[닉 세이브 / 영국 아스트로스케일 매니징디렉터 : 기본적으로 충돌은 또 다른 충돌을 일으키고 결국, 쓸 수 없는 궤도가 많이 생길 것입니다. 또 다른 위험은 사람입니다. 아마 10년에서 20년 사이에 100명 까진 아니어도 수십 명의 우주인이 궤도 위에 있게 될 텐데 이들도 위험에 놓이게 됩니다.] <br /> <br />이미 지난 2013년, 국제 사회는 우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의체를 만들고 한국을 포함한 13개 나라 기관이 머리를 맞대 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제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기술 개발에 뛰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역시 위성을 붙잡아 대기권으로 다시 보내는 '포획 위성' 개발인데, 이를 위해 우주에 있는 물체의 위치나 궤도를 바꿀 수 있는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동은 (de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4032423223490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